OSI 7 계층(Layer) 모델은 Network 통신을 계층별로 분리하여 설명하는 모델입니다.
(예전에 "응-표-세-전-네-데-물" 하면서 외우던 기억이 납니다...)
OSI 7 계층 모델을 이용하면 Network 문제 해결할때 각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문제를 진단하고
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론이 될 수 있습니다.
(Network 구축 담당할때 뭐 안되기만하면 Network 확인해달라는 업체가 있었음 빠르게 내 영역을 확인하고 던질때 잘 활용했지요)
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설명: 물리적 전송 매체와 신호를 다루며, 데이터의 비트 전송을 담당합니다.
장비: 허브, 리피터, 케이블, 커넥터
장애 확인:
케이블 연결 상태
장비 전원 상태
물리적 손상 여부
신호 강도 및 간섭 문제
2.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설명: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관리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합니다.
장비: 스위치, 브리지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(NIC)
장애 확인: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NIC) 상태
스위치 및 브리지 설정
MAC 주소 테이블
프레임 오류 및 충돌
VLAN 설정 및 트렁킹
3.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설명: 데이터 패킷의 주소 지정 및 경로 설정을 담당하며,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.
장비: 라우터, 레이어 3 스위치
장애 확인:
IP 주소 설정
서브넷 마스크
라우팅 테이블
라우터 설정
ACL(Access Control List) 설정
네트워크 경로 추적
4.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설명: 종단 간 통신을 관리하고,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, 흐름 제어, 오류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.
장비: L4 로드 밸런서
장애 확인:
TCP/UDP 포트 상태
연결 수립 여부 (TCP 3-way handshake)
포트 포워딩
L4 로드 밸런서 설정 확인
SDN (Software-Defined Networking) 설정 확인
데이터 전송 속도 및 패킷 손실
5.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설명: 통신 세션을 설정, 유지, 종료하는 역할을 하며, 세션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및 복구를 관리합니다.
장비: 방화벽, 프록시 서버
장애 확인:
세션 설정 및 유지
인증 문제
세션 타임아웃
세션 재설정
다중 세션 관리
6.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설명: 데이터의 형식 변환, 압축, 암호화를 담당하며, 응용 계층 간의 데이터 표현을 일관되게 유지합니다.
장비: 프록시 서버, 데이터 변환 장치
장애 확인:
데이터 인코딩/디코딩 문제
암호화/복호화 문제
데이터 압축/해제 오류
프로토콜 변환 문제
7.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설명: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, 다양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합니다.
장비: 서버, 프록시 서버
장애 확인:
애플리케이션 설정
사용자 인증 문제
프로토콜 문제 (HTTP, FTP 등)
애플리케이션 응답 시간 지연
서비스 가용성 및 접근성 문제
DNS 설정 및 확인
감사합니다.
'Network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VPN (IPsec VPN) 이란? #1 (26) | 2024.08.20 |
---|---|
[Network] DNS(Domain Name System) 동작 방식 #2 (34) | 2024.08.13 |
[Network] DNS(Domain Name System) 란? #1 (26) | 2024.08.08 |
[Network] TCP/ UDP 란? (19) | 2024.07.26 |
[Network] IP(Internet Protocol) 란? (24) | 2024.07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