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163

[Active Directory] Windows Server 2022 "AD 역할 및 기능 추가" #3

Windows Server 2022에서 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 설치 진행을 위해 서버 관리자(Server Manager)열고 "역할 및 기능 추가"에서 "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", "DNS Server" 기능을  추가하고 하도록 하겠습니다. 서버관리자 실행 Powershell  명령어 # 서버 관리자 실행 명령어 ServerManager.exe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다음 순서로는 AD DS(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)를 "도메인 컨트롤러로 승격"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 Thank you!!

[Active Directory] FOREST (포리스트), TRUST (트러스트), TREE (트리), DOMAIN (도메인), OU (조직 구성 단위) #2

FOREST (포리스트), TRUST (트러스트), TREE (트리), DOMAIN (도메인), OU (조직 구성 단위) 에 대하여 그림으로 이해하기 FOREST (포리스트):포리스트는 AD의 최상위 계층입니다. 여러 개의 도메인이 한 포리스트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, 포리스트 내의 도메인은 서로 신뢰 관계를 맺습니다.예: coxfactor.com 포리스트와 ABC.com 포리스트.TRUST (트러스트):트러스트는 두 포리스트 또는 도메인 간의 신뢰 관계를 말합니다.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포리스트의 사용자들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.예: coxfactor.com 포리스트와 ABC.com 포리스트는 트러스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TREE (트리):트리는 하나의 포리스트 내에 있는 도메인들의 구조를..

[Azure Network] VNET(Virtual Network) 란?

Azure Virtual Network (VNET)는 Azure 클라우드 내에서 프라이빗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여 VNet에 존재하는 리소스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인터넷,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합니다. Azure VNET은 Microsoft Azure에서 네트워크 인프라를 관리하며, Azure 서비스 사용자는 가상 네트워크 공간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,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빠르고 간편합니다.   또한, Azure VNET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리소스를 활용하여하이브리드 연결(hybrid connectivity), 보안(security), 애플리케이션 서비스(applicatio..

Azure/Azure Network 2024.07.26

[Network] TCP/ UDP 란?

TCP (Transmission Control Protocol)와 UDP (User Datagram Protocol)는 OSI 7계층 모델의 전송 계층에서 사용되는 주요 프로토콜입니다. 이 프로토콜들은 네트워크를 통해 데이터를 전송하는데 사용되며, 각기 다른 동작 방식을 가지고 있어 용도와 특정 서비스 요구사항에 따라 선택적으로 사용되거나 함께 사용될 수 있습니다.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TCP는 연결 지향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, 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신뢰할 수 있게 보장하며 데이터의 순서와 무결성을 유지합니다. 동작 방식 1. 연결 설정 (3-Way)  →  2. 데이터 전송  →  3. 연결 종료 (4-Way)    ..

Network/이론 2024.07.26

[Active Directory] AD 란 ? #1

Active Directory (AD)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디렉터리 서비스로, 기업 환경에서 "사용자", "컴퓨터", "애플리케이션", "프린터" 등의 리소스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조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 AD 서버는 주로 기업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며, 회사 내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계정 및 비밀번호 관리: 모든 직원의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중앙에서 관리하여,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고 보안을 강화합니다.정책 관리: 그룹 정책을 통해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와 사용자에게 특정 설정과 규칙을 일괄적으로 적용합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강제하거나, 보안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소프트웨어 배포: 특정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 내의 여러 컴퓨터에 자동으로 설치하고 ..

[Windows 설정] Hostname 변경

Hostname 이란?Windows OS 에서 사용하는 PC or Server의 Network 상에서 나타내는 Name을 의미합니다. 해당 Name은 Network 에서 PC를 식별하는데 사용합니다.Hostname은 사용자나 Network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, PC가 Network에 연결될 때, 다른 기기들이해당 컴퓨터를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. - Hostname 규칙 1. 길이 제한 Hostname은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나 NetBIOS 이름의 경우 최대 15자까지 제한됩니다. 2. 문자 영어 (소문자, 대문자)  /  숫자 (0~9)  /  하이픈 (-) * 하이픈은 시작과 끝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. 공백 (Space)  /  특수문자 ( ! * % # & )  을 포함할 수 없..

Server/Windows 2024.07.25

[Windows 설정] RDP (Remote Desktop Protocol) 설정

RDP(Remote Desktop Protocol)MS 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, 사용자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해당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. RDP 는 주로 원격 지원, 서버 관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  Port : 3389 를 통해 통신하며, TCP, UDP 를 모두 사용합니다. * TCP 만 Open 하여도 접속이 가능합니다.- TCP Port 3389RDP의 기본 포트로 클라이언트가 원격 데스크톱 세션을 접속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 "초기 연결 설정", "인증", "세션 관리" 등 대부분의 DATA가 이 포트를 통해 전송됩니다.- UDP Port 3389RDP 8.0 이상에서는 UDP 3389 포트도 사용됩니다. "그래픽 데이터", "오디오 스트림" 등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..

Server/Windows 2024.07.24

[Hyper-V] 가상 스위치 만들기 #2

"Hyper-V VM 만들기  #1(Windows Server 2022)" 에 이어서 Hyper-V 가상 스위치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   주로 사용하는 "외부(External)" 가상 스위치를 생성하고 추후에 "중첩된 가상화 (Hyper-V)" 에서 "내부(Internal)" 가상 스위치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  유형설명외부 (External)•가상 시스템이 물리적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외부 네트워크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도  록 한다.•Hyper-V 서버의 가상 시스템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.내부 (Internal)•Hyper-V 서버의 가상 시스템과 가상 컴퓨터와 관리 호스트 운영 체제 간의 통신을 허용한다.개인 (Private)• Hyper-V 서버에서 가상 시..

Server/Hyper-V 2024.07.23

[Hyper-V] VM 만들기 (Windows Server 2022) #1

Windows Server 2022 ISO(평가판) 다운로드 링크 아래 실행 명령어를 통해 "Hyper-V 관리자"를 실행합니다.- Porshell > virtmgmt.msc 입력 virtmgmt.msc    구분Generation 1Generation 2부팅 및 펌웨어전통적인 BIOS 기반 부팅 사용UEFI(Extensible Firmware Interface) 기반 부팅 사용, 더 빠른 부팅 시간 제공부팅 디바이스IDE 드라이브, 네트워크 어댑터, CD/DVD 드라이브SCSI 드라이브, 네트워크 어댑터, UEFI 지원 디바이스 (IDE 미지원)가상화 기능구형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 설계최신 운영 체제와 향상된 보안 및 성능 기능 지원장치 및 드라이버레거시 네트워크 어댑터 및 COM 포트..

Server/Hyper-V 2024.07.23